웹 접근성이라는 이야기가 나오기 시작한 이후, 여러 사이트에서 웹 접근성을 적용하면서 느낀 것은 다음과 같다.
먼저, 웹 접근성 강화 프로젝트에서의 가장 중요한 것은 현재 사이트의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였다.
현상태를 파악함으로서 전체일정을 계획할 수 있으며,
개발사가 같은 하나의 사이트는 보여지는 웹 접근성의 취약 부분이 거이 모든 페이지 들에 대하여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것들이 많아,
그런 부분들에 대하여 정리하고, 처리 방법을 정규화 하여지시하면, 고급의 기술을 가진 개발자나, 코더가 아니더라도
학습에 의하여 많은 부분의 해결이 가능하며, 추후 관리가 용이하였다.
또한, 그렇게 판별 되어진 웹 접근성 취약점을 종류 별로 분류고,
페이지 별로 단순한 작업으로 보완이 가능한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을 서로 다른 작업을 시키는 것이 가능하였다.
실예로, 초급자들에게 alt 태그에 대한 부분을 처리하게 하고,
이보다 난이도가 있는 웹접근성 취약점 개선은 경험이 있는 개발자/디자이너/코더 들에게 맞겨 작업 시간을 단축하였다.
마지막으로, 서로 작업한 부분을 교차 체크 하여,미처 처리하지 못하고 지나가는 취약점을 최소화 하였다.
이런 과정에서어려웠던 부분은 웹 접근성과 관련하여 문제(막히는 부분)이 발생 했을시,
즉시 대답해줄 수 있는사람이 없어, 나름의 해답을 찾기 위한 예상치 못한 시간 소요가 있었다는 것과,
담당자의 몰이해에 따른 웹 접근성에 위배되는 요구사항들(팝업, 플래시의 기능, 입력 Fome에서의 자동 이동 등)
에 대하여 이해를 시키는 과정(100% 이해 시키고 웹 접근성에 맞게 구축 하지 못한 부분도 있음)을 들 수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