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3C

웹 콘텐츠(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제작) 지침 1.0

1999년 5월 5일 W3C 권고안

영어 원본:
http://www.w3.org/TR/1999/WAI-WEBCONTENT-19990505
(텍스트 파일, 포스트스크립트 파일, PDF 파일, tar와 gzip으로 압축한 HTML, zip으로 압축한 HTML)
영어 가장 최신 버전:
http://www.w3.org/TR/WAI-WEBCONTENT
이전 버전:
http://www.w3.org/TR/1999/WAI-WEBCONTENT-19990324
편집자:
Wendy Chisholm, Trace R & D Center, University of Wisconsin -- Madison
Gregg Vanderheiden, Trace R & D Center, University of Wisconsin -- Madison
Ian Jacobs, W3C
한국어 번역 최신 버전:
http://gregshin.pe.kr/wcag/
한국어 번역 저장본:
http://www.w3c.or.kr/Translation/WAI-WEBCONTENT-19990505
한국어 번역자:
신승식 (Greg Shin), LG전자 / 러닝 센터

Translated d0cument may contain errors from translation.
이 번역본은 원본 문서에 없으나 번역 과정에서 생긴 오류를 포함할 수도 있습니다. 번역 과정에서 생긴 오류를 발견하신 분은 gregshin at hanafos.com으로 내용을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요약

이 지침은 장애인들이 어떻게 웹 콘텐츠 에 접근할 수 있게 할 것인지 설명하고 있다. 이 지침은 모든 웹 콘텐츠 개발자 (페이지를 제작하는 사람과 사이트 디자이너)와 저작 도구 개발자를 위한 것이다. 이 지침의 첫째 목표는 웹 페이지의 접근성을 높이는 것이다. 그러나 이 지침을 따름으로써 웹 표시 장치(user agent)(예를 들어, 데스크탑 브라우저, 음성 브라우저, 이동 전화, 자동차용 컴퓨터 등)의 종류나 사용 환경(소음이 심한 곳, 조명이 지나치게 어둡거나 지나치게 밝은 곳, 손을 사용할 수 없는 환경 등 매우 다양한 환경에서 웹이 쓰인다.)과 무관하게 모든 이가 보다 쉽게 웹 콘텐츠에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또, 이 지침을 따름으로써 웹 정보 검색을 더 빠르게 할 수 있다. 이 지침은 개발자에게 그림(이미지)이나 동영상 등을 쓰지 말라고 권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멀티미디어에 담긴 내용을 더 많은 사람들이 향유하게 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이 문서는 접근성 원칙(accessibility principles)과 디자인 아이디어에 대한 참고서라고 할 수 있다. 이 문서에서 논의된 방법들은 웹의 국제화와 무선 접속에 대한 고려 사항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이 문서는 접근성에 관해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으며, W3C의 다른 관련 활동에 대해서 상세하게 다루지는 않는다. 이들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W3C의 무선 및 이동 접속에 대한 활동 홈페이지W3C의 국제화 활동에 대한 홈페이지를 참조하라.

이 문서는 다양한 웹 기술에 대한 브라우저의 지원 여부나 지원 정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으며 (그런 정보는 안정적인 문서에 포함하기에는 너무 빨리 변화한다.) 그런 것과 상관없는 안정적인 (역자 추가: 그리고 보편적인) 내용을 제공하려고 한다. 대신에 웹 접근성 이니셔티브 (WAI) 웹사이트에서 그런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WAI-UA-SUPPORT]를 참조하라.).

이 문서의 부록은 주제와 중요도에 따라 분류한 모든 체크포인트를 담고 있다. 부록에 있는 체크포인트는 이 문서에 있는 해당 정의와 연결되어있다. 부록에서는 이미지, 멀티미디어, 표(tables), 프레임, 폼(forms), 스크립트 등이 다뤄지고 있다. 부록은 표 형식 또는 단순 나열식으로 볼 수 있다.

다른 문서인 "웹 콘텐츠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기술적 방법 1.0"([TECHNIQUES])에서는 이 문서에서 정의한 체크포인트를 어떻게 구현할 것인지 설명하고 있다. 그 문서에서는 각 체크포인트를 더 자세하게 다루고 있고, Hypertext Markup Language (HTML), Cascading Style Sheets(CSS), Synchronized Multimedia Integration Language (SMIL), Mathematical Markup Language (MathML)를 사용한 예제를 제시하고 있다. 또 그 문서에서는 문법 검사(validation)와 시험 기법에 대한 내용이 들어있으며, HTML 요소(elements) 및 속성(attributes)에 대한 색인과 어떤 기술이 그것을 사용하는지에 대해서도 나와 있다. 기술적 방법을 다루는 문서는 기술의 변화를 따라가는 것이 중요하므로 이 문서보다는 더 자주 개정될 것이다. Note. 모든 브라우저와 멀티미디어 프로그램이 지침에서 제시한 모든 기능을 지원하지는 않는다. 특히 HTML 4.0이나 CSS 1, CSS 2에서 새로이 규정한 것은 지원되지 않을 가능성이 더 높다.

"웹 콘텐츠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제작 지침 1.0"은 웹 접근성 이니셔티브가 발행하는 접근성 지침 시리즈의 일부이다. 시리즈에는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웹 표시 장치 제작 지침 (User Agent Accessibility Guidelines, [WAI-USERAGENT])과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저작 도구 개발 지침(Authoring Tool Accessibility Guidelines, [WAI-AUTOOLS])도 들어있다.

이 문서의 현재 상태

이 문서는 W3C 회원과 다른 관계자의 검토를 거쳐 W3C 총재가 W3C 권고안으로 승인하였다. 이 문서는 안정적인 문서이므로 참고 자료로 쓰이거나 규범적인 참고 문헌으로 다른 문서에서 인용할 수 있다. W3C가 권고안을 만드는 것은 (표준) 사양에 대해 주의를 환기시키고, 보다 넓은 범위에서 그 사용을 촉진하기 위해서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웹의 기능성과 보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사양에 대한 영어판만이 규범력을 지닌다. 그러나 다른 언어 번역판을 보고 싶으면, http://www.w3.org/WAI/GL/WAI-WEBCONTENT-TRANSLATIONS 를 참조하면 된다.

이 문서에 대해 지금까지 알려진 오류 목록은 http://www.w3.org/WAI/GL/WAI-WEBCONTENT-ERRATA 에서 볼 수 있다. 이 문서에 오류가 있으면 wai-wcag-editor@w3.org 로 메일을 보내주기 바란다.

W3C의 권고안 문서 목록이나 다른 기술적인 문서는 http://www.w3.org/TR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 문서는 W3C의 웹 접근성 이니셔티브의 일환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웹 콘텐츠 지침에 관한 워킹 그룹 (Web Content Guidelines Working Group)의 목적은 이 그룹의 헌장에 나와있다.

목차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