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2 (명확한 지시 사항 제공) 지시 사항은 모양, 크기, 위치, 방향, 색, 소리 등에 관계없이 인식될 수 있어야 한다.

  • 검사 항목

본 검사 항목은 특정 요소를 가리키거나 지시 사항을 전달하는 콘텐츠에 한정해 적용하는 것으로, 시각이나 청각 등과 같은 특정 감각에만 의존하여 제공해서는 안 된다는것이다. 즉, 다른 감각을 통해서도 지시 사항을 인식하는 데 문제가 없도록 제공해야 한다. 텍스트 콘텐츠와 대체 텍스트가 제공된 텍스트 아닌 콘텐츠는 보조 기기를 통해 다른 감각으로의 전환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들 콘텐츠를 음성 콘텐츠로 변환하여 제공할필요는 없다

.

1) 색, 크기, 모양 또는 위치와 같은 정보에 대한 인식: 웹 콘텐츠는 콘텐츠에 접근하는 사용자들이 색, 크기, 모양 또는 위치에 관한 정보를 인식하지 못하더라도 원하는 콘텐츠에 접근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특정 요소를 ‘동그란버튼을 누르시오’ 또는 ‘오른쪽 버튼을 누르시오’라고 가리킬 때, 그 대상이 되는버튼이 ‘동그란 버튼’ 또는 ‘오른쪽 버튼’이라는 대체 텍스트를 포함하고 있지 않을경우 시각 장애를 지닌 사용자는 어떤 요소를 지칭하는지 알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가리키고자 하는 요소의 실제 명칭이나 그 요소가 포함하고 있는 대체 텍스트를 사용해 지칭하거나, 불가피하게 색, 크기, 모양, 위치와 같은 정보를 사용해특정 요소를 가리킬 때는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다른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2) 음성이나 음향 정보의 인식: 사용자에게 음성이나 음향을 사용해 지시 사항을 전달하는 경우 사용자가 소리를 들을 수 없더라도 전달하고자 하는 지시 사항을 인식할수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온라인 시험 진행 중 사용자에게 비프음(Beep sound)으로 정답인지 오답인지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면, 청각 장애 사용자나 스피커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환경에 있는 사용자는 정답과 오답 여부를 확인할 수 없다. 따라서 이 경우에 비프음과 함께 정답과 오답 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면 더 많은 사용자가 지시 사항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웹 표준과 접근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1.3 명료성  (0) 2011.07.15
1.3.1 색에 무관한 콘텐츠 인식  (0) 2011.07.15
1.3.3 텍스트 콘텐츠의 명도 대비  (0) 2011.07.15
1.3.4 배경을 사용금지  (0) 2011.07.15
2. 운용의 용이성  (0) 2011.07.1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