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W사업 대가산정 가이드(2024년 개정판)

 

 

 

|| SW사업 대가산정 가이드의 목적

SW사업 대가산정 가이드는 국가·지방자치단체·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투자하거나 출연한 법인 또는 기타 공공단체 등(이하 “국가기관 등”이라 한다)에서 소프트웨어의 기획, 구현, 운영 등 수명주기 전체 단계에 대한 사업을 추진함에 있어 이에 대한 예산수립, 사업발주, 계약 시 적정대가를 산정하기 위한 기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대가산정 활동은 SW사업 전체 수명주기 동안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활동으로 발주자나 수주자를 비롯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활동이다.
본 가이드를 통하여, 국가 정보화사업의 합리적이고 객관적인 대가산정을 유도하여 국내 SW사업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제값주기 환경을 지속 정착시켜 SW산업의 경쟁력을 제고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개정 내용

 ◎ 소프트웨어사업 개발 표준단가(기능점수단가) 조정 : 605,784원

  - 기존 기능점수(FP)당 단가(553,114원)를 9.52% 인상한 605,784원으로 현행화함

 ◎ 인공지능(AI) 도입사업 대가산정 가이드 추가

  - 인공지능(AI) 솔루션 및 서비스 도입시 적용하도록 관련 전문작업비 항목을 산정할 수 있도록 제시함

 

|| 적용 시점

 - 가이드 공표일을 기준으로 적용함

 - 단, 전년도 예산 신청 후 다음 해 발주되는 사업은 전년도 기준 적용 가능

 

 

 

자료출처 : 한국소프트웨어 산업협회

 

PMP 자격 갱신

PMP 자격증 갱신 조건

PMP 자격증은 취득한 이후에도 3년 주기로 자격 유지를 위한 갱신이 필요한 자격증 입니다. 
PMP 자격 갱신을 위해서는 3년동안 교육 실시/수강, 프로젝트 수행 등을 통하여 60 PUD를 취득해야 하며 별도 비용도 필요합니다.

1. 3년 동안 교육과 기여를 통하여 60PDU 취득
2. 자격 유지를 위하여 165UDS 지불(현재 기준)

 

PDU란?

PMP자격증 갱진을 위하여 3년 동안 60 PUD가 필요하다고 하는데, 그럼 PUD란 무엇일까요?

PDU(Professional Development Units)는 PMP 자격증을 유지하기 위해  PM분야에서 배우거나, 가르치거나, 봉하하는 한시간 단위의 활동으로 크게 Education(교육)와 Giving Back(기여)로 크게 나뉘어지며, 교육 활동에서 최소 35 PDU를 획득해야 하며 기여 활동을 통해서는 최대 25PDU 까지 획득이 가능합니다.(현재 기준) 

이때 60PDU도 한가지 분야에서만 획들 할수 없으며 기술(Technical), 리더십(Leadership), 전략 & 비즈니스(Strategic & Business) 3가지 분야에서 각각 8PDU 이상 획득해야 합니다.

'PMI' 카테고리의 다른 글

PMP 시험을 끝내고.  (2) 2023.07.26
시험등록(2)  (0) 2023.06.28
PMP 온라인 시험 요구사항  (0) 2023.06.28
PMP 시험 등록  (0) 2023.06.27
PMI 경력등록  (0) 2023.05.31

PPDAC Model

PPDAC 란  

뉴질랜드의 교육체계에서 나온 통계분석 단계로 Problem - Plan - Data - Analysis - Conclusion 의 5 단계를 말한다다

 

  1. Problem : 데이터에 대한 문제 의식을 제기하여 나의 가설을 세운다.
  2. Plan : 가설을 확인 할 조사 계획을 세운다.
  3. Data : 조사 계획을 토대로 데이터를 수집한다.
  4. Analysis : 얻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통계적인 분석을 실행한다.
  5. Conclusion : 분석 결과를 정리한다. 우리가 세운 가설이 옳은 지 확인하고 결과에 따라서 새로운 문제를 찾고 가설을 설정한다.

즉, 먼저 문제를 정의를 한 다음에, 그 문제에 대해서 자료를 어떻게 수집하고, 어떻게 분석할지 계획을 세운 다음, 실제 자료 수집을 하고, 그 자료 수집 과정에 정제되지 않은 데이터를 크리닝 하는 작업을 한 후, 분석하고, 결론을 통하여 질문에 대한 대답을 하게된다.

PPDAC Model

3.1 성실하고 존경할 만하며 배려심 있는 관리자 되기
        (BE A DILIGENT, RESPECTFUL, AND CARING STEWARD)

관리자는 내부 및 외부 지침을 준수하면서 청렴성, 관심 및 신뢰성을 가지고 활동을 수행하기 위해 책임감 있게 행동한다.
관리자는 자신이 지원하는 프로젝트의 재무적, 사회적, 환경적 영향에 대한 광범위한 헌신을 보여 준다.

 

  • 스튜어드십은 조직 내부 및 외부에 대한 책임을 포괄한다.
  • 스튜어드십은 청렴성, 관심, 신뢰성 및 규정 준수를 포함한다.
  • 스튜어드십의 전체적인 관점에서는 재무적, 사회적, 기술적 및 지속 가능한 환경 인식을 고려한다.

 

출처 : PMBOK 7th

 

현실적으로 어려운 부분들이 눈에 보이네 상명하복의 생활을 오래 해온 우리에게는 스튜어드십(STEWARDSHIP) 자체가 익숙하지 않을 수도 있다. 

'PMP(PMBOK) 7th > PM Standard'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즈니스 케이스(BC, Business Case)  (0) 2024.09.09
PMBOK 7판 로드맵  (0) 2023.08.10
12가지 프로젝트 관리 원칙  (0) 2023.03.05

4.6.3 계획 관련 산출물

계획은 어떤 것을 달성하기 위해 제안된 수단이다.
프로젝트 팀은 프로젝트의 개별 측면에 대한 계획을 개발하거나 모든 정보를 중요한 프로젝트관리 계획에 결합한다.
계획은 일반적으로 문서로 작성되지만 시각적으로 표시되거나 가상 화이트보드에도 반영될 수 있다.

 

  • 변경통제 계획서.
    변경통제 계획서는 변경통제위원회를 구성하고, 위원회의 권한 범위와 변경통제 시스템의 구현 방법을 기술한 문서로, 프로젝트관리 계획서를 구성하는 요소이다.
  • 의사소통관리 계획서.
    이 계획서는 프로젝트에 관한 정보의 관리 및 배포 방법, 시기 및 담당자를 명시한 문서로, 프로젝트, 프로그램 또는 포트폴리오관리 계획서를 구성하는 요소이다.
  • 원가관리 계획서.
    이 계획서는 원가를 계획, 구성 및 통제하는 방법을 기술한 문서로, 프로젝트 또는 프로그램관리 계획서를 구성하는 요소이다.
  • 이터레이션 계획.
    이 계획은 현재 이터레이션의 세부 계획이다.
  • 조달관리 계획서.
    이 계획서는 프로젝트 팀이 수행 조직 밖에서 상품과 서비스를 확보하는 방법을 기술한 문서로, 프로젝트 또는 프로그램관리 계획서를 구성하는 요소이다.
  • 프로젝트관리 계획서.
    프로젝트관리 계획서는 프로젝트를 실행, 감시, 통제 및 종료하는 방법을 기술한 문서이다.
  • 품질관리 계획서.
    이 계획서는 품질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적용되는 정책과 절차, 지침을 구현하는 방법을 기술한 문서로, 프로젝트 관리 또는 프로그램관리 계획서를 구성하는 요소이다.
  • 릴리즈 계획.
    이 계획은 여러 차례의 반복 과정을 거쳐 인도될 것으로 예상되는 날짜, 기능 및/ 또는 결과에 대한 기대치를 설정한다.
  • 요구사항관리 계획서.
    이 계획서는 요구사항의 분석, 문서화, 관리 방법을 기술한 문서로, 프로젝트 또는 프로그램관리 계획서를 구성하는 요소이다.
  • 자원관리 계획서.
    이 계획서는 프로젝트 자원을 확보하여 할당하고, 감시 및 통제하는 방법을 기술한 문서로, 프로젝트관리 계획서를 구성하는 요소이다.
  • 리스크관리 계획서.
    이 계획서는 리스크관리 활동을 체계적으로 구성하고 수행하는 방법을 기술한 문서로, 프로젝트, 프로그램 또는 포트폴리오관리 계획서를 구성하는 요소이다.
  • 범위관리 계획서.
    이 계획서는 범위를 정의, 개발, 감시, 통제 및 확인하는 방법을 기술한 문서로, 프로젝트 또는 프로그램관리 계획서를 구성하는 요소이다.
  • 일정관리 계획서.
    이 계획서는 일정을 개발, 감시 및 통제하기 위한 기준과 활동을 기술한 문서로, 프로젝트 또는 프로그램관리 계획서를 구성하는 요소이다.
  • 이해관계자 참여관리 계획서.
    이 계획서는 프로젝트 또는 프로그램 의사결정 및 실행 과정에 이해관계자의 생산적인 참여를 촉진하기 위해 필요한 전략과 조치를 기술한 문서로, 프로젝트관리 계획서를 구성하는 요소이다.
  • 테스트 계획서.
    이 문서는 테스트 대상 인도물, 실행될 테스트, 테스트에 이용될 프로세스 등을 설명한다. 구성 요소 및 인도물을 공식적으로 테스트하기 위한 기반이 된다.

출처 : PMBOK 7th

'PMP(PMBOK) 7th > PMBOK Guide' 카테고리의 다른 글

4.6.2 기록부 및 관리대장  (1) 2024.11.23
4.6.1 전략 결과물  (0) 2024.11.22
PMO의 주요 기능  (0) 2024.11.21
팀에 도움이 되는 스폰서의 활동  (0) 2024.11.20
스폰서의 역할  (0) 2024.11.19

4.6.2 기록부 및 관리대장

기록부와 관리대장은 프로젝트의 발전 측면을 지속적으로 기록하는 데 사용된다.
프로젝트 전반에 걸쳐 업데이트된다. 기록부와 관리대장이라는 용어는 종종 혼용된다.
동일한 결과물을 나타내는 리스크 관리대장 또는 리스크 기록부를 흔히 볼 수 있다.

 

  • 가정사항 기록부.
    가정은 증거 또는 입증 없이 진실, 사실 또는 확실한 것으로 간주되는 요인이다. 제약은 프로젝트, 프로그램, 포트폴리오 또는 프로세스 관리 옵션을 제한하는 요인이다. 가정사항 기록부는 프로젝트 전반에 걸쳐 모든 가정과 제약을 기록한다.
  • 백로그.
    백로그는 수행할 업무를 순서에 따라 정리한 목록이다. 프로젝트에 제품 백로그, 요구사항 백로그, 방해 요소 백로그 등이 있을 수 있다. 백로그에 있는 항목은 우선순위가 지정된다. 우선순위가 지정된 작업은 다가오는 이터레이션에 예정된다.
  • 변경사항 기록부.
    변경사항 기록부는 프로젝트 기간에 제출된 전체 변경사항 목록과 변경사항별 현황 기록부이다. 변경사항은 공식적으로 통제되는 인도물, 프로젝트관리 계획서에 속한 문서 또는 프로젝트 문서를 수정할 수 있다.
  • 이슈 기록부.
    이슈는 프로젝트 목표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는 현재 여건이나 상황을 말한다. 이슈 기록부는 진행중인 이슈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고 감시하는 데 사용된다. 후속 조치 및 해결을 위해 책임 당사자에게 이슈가 배정된다.
  • 교훈 관리대장.
    교훈 관리대장은 프로젝트, 단계 및 반복 중 획득한 지식의 기록에 사용된다. 이 문서를 활용하여 프로젝트 팀과 조직을 위해 향후 성과를 개선할 수 있다.
  • 리스크 조정 백로그.
    리스크 조정 백로그는 위협과 기회를 처리하는 작업 및 조치가 포함된 백로그이다.
  • 리스크 관리대장.
    리스크 관리대장은 리스크관리 프로세스의 산출물을 기록하는 저장소이다. 리스크 관리대장에 있는 정보에는 리스크, 확률, 영향, 리스크 점수, 계획된 리스크 대응 및 개별 리스크에 대한 상위 수준의 이해를 얻기 위해 사용되는 기타 정보의 관리자를 포함할 수 있다.
  • 이해관계자 관리대장.
    이해관계자 관리대장에는 프로젝트 이해관계자의 평가와 분류를 비롯한 프로젝트 이해관계자 관련 정보를 기록한다.

출처 : PMBOK 7th

'PMP(PMBOK) 7th > PMBOK Guide' 카테고리의 다른 글

4.6.3 계획 관련 산출물  (1) 2024.11.24
4.6.1 전략 결과물  (0) 2024.11.22
PMO의 주요 기능  (0) 2024.11.21
팀에 도움이 되는 스폰서의 활동  (0) 2024.11.20
스폰서의 역할  (0) 2024.11.19

4.6.1 전략 결과물

프로젝트에 관한 전략적 정보, 비즈니스 정보 또는 고급 정보를 다루는 문서로, 프로젝트의 시작 전 또는 시작 시에 작성되는 문서. 전략 결과물은 프로젝트 시작 시에 개발되며 프로젝트 전반에 걸쳐 검토가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변경하지는 않는다.

 

  • 비즈니스 케이스.
    비즈니스 케이스는 재무적 또는 비재무적 편익을 포함하여 제안된 프로젝트를 위한 가치 제안이다.
  •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이 결과물은 가치 제안, 인프라, 고객 및 재무 상태를 설명하는 한 페이지 분량으로 요약된 시각 자료이다. 린 스타트업 상황에서 자주 사용된다.
  • 프로젝트 요약서.
    프로젝트 개요는 프로젝트의 목표, 인도물 및 프로세스에 대해 상위 수준의 개요를 제공한다.
  • 프로젝트헌장.
    프로젝트헌장은 프로젝트의 채택을 공식적으로 승인하고 프로젝트관리자에게 프로젝트 활동에 조직의 자원을 투입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기 위해서 프로젝트 착수자나 스폰서가 발행하는 문서이다.
  • 프로젝트 비전 기술서.
    이 문서는 프로젝트의 목적을 간결하고 상위 수준으로 설명하여
    프로젝트 팀이 프로젝트에 기여하도록 영감을 부여한다.
  • 로드맵.
    이 문서에서는 마일스톤, 주요 행사, 검토 및 결정 항목을 보여주는 상위 수준의 일정을 제공한다.

 

출처 : PMBOK 7th

'PMP(PMBOK) 7th > PMBOK Guide' 카테고리의 다른 글

4.6.3 계획 관련 산출물  (1) 2024.11.24
4.6.2 기록부 및 관리대장  (1) 2024.11.23
PMO의 주요 기능  (0) 2024.11.21
팀에 도움이 되는 스폰서의 활동  (0) 2024.11.20
스폰서의 역할  (0) 2024.11.19

+ Recent posts